IT좋은지식 (6)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컬 개발 환경으로 웹서비스로 공유하기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DNS와 방화벽을 건드리지 않고도 로컬 개발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사용해봐야 알겠지만 너무 유용한 프로그램이라 잊어버리기전에 글 써두기 :) https://theboroer.github.io/localtunnel-www/ Localtunnel ~ Expose yourself to the world Localtunnel allows you to easily share a web service on your local development machine without messing with DNS and firewall settings. Localtunnel will assign you a unique publicly accessible url that.. WebP 란? 정의 2010 구글이 만든 이미지 포맷으로 JPEG(손실)이나 PNG(비손실) 포맷 대비 30%정도 용량이 작은 이미지 포맷이다. 장점 결국 용량이 적어졌다는 건데 자게하게 설명하자면 자주 사용하는 JPEG로 따지면 동일한 화질에 이미지보다 39.8% 압축률이 개선되었으며, 압축률 조절도 가능하다고 한다. 단점 사용 안되는 브라우저가 있을 수 있음 REST API REST란? 로이 필딩박사가 2000년 자신의 논문에 처음으로 소개한 개념이다. GET, PUT, POST, DELETE 등과 같은 동사와 HTTP 헤더, 상태코드 등 HTTP가 이미 서비스간 통신을 위해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한다.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REST는 어떤 기술에 표준이 아니며, HTTP에 대한 일종의 아키텍처 제약사항이다. 크게 본다면 리소스, 메서드, 메시지 3개의 요소로 구분된다. REST 성숙도 모델이란? API의 REST 원칙 준수 등급을 매길 수 있게 한다. 레벨 0 : 클라이언트에서는 서비스별로 end point에 HTTP POST 요청을 한다. (SOAP, XML-RPC) 해당 레벨 1 : 서비스는 리소스 개념 (여러개의 URI) 을 지원하는 POST 요.. 생성자 보단 정적 팩토리 메서드! (왜 정적 생성자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는것이 안티패턴인가?) 정적 팩토리 메서드(Static Factory Method)란? 객체 생성 시 캡슐화 한다. 객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클래스 메서드이다. GoF 디자인 패턴 중 팩토리 패턴에서 유래한 이 단어는 객체를 생성하는 역할을 분리하겠다는 취지가 담겨있다. 생성자와의 차이는?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생성자를 통한 생성 Character warrior = new Character(5, 15, 20, 3); Character mage = new Character(15, 5, 10, 15);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통한 생성 Character warrior = Character.newWarrior(); Character mage = Character.newMage(); 호출할때 마다 객체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pu.. Event Driven 이란? 마이크로서비스란 작고 독립적인 시스템 loosely cupled (느슨한 결합) 빠른 배포 폴리글랏 프로그래밍 (여러개의 언어를 사용해 MSA개발) IT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아키텍처 또한 컨테이너 기반의 플랫폼(Kubernetes)과 서로 같이 발전하고 있음 여기서 잠시 폴리글랏이란? 여러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원래 사용은 실 세계 언어에 대해 적용하는 단어지만 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이 용어가 사용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Event Driven 이란 무엇일까? Event Driven이란 용어는 IT에서 갑자기 나온 키워드는 아닙니다. 2018년 유망한 기술 트랜드 중 하나로 뽑히기도 했습니다. 이것으로 보아 아직까지도 영향력이 대단한 것 같습니다. Event Driven은 Progr.. HTTP 접근제어 (CORS)란? HTTP 접근제어 (CORS)란? ○ 정의 브라우저와 서버간 외부 도메인 서버와 접근하기위한 권한을 알려주는 메커니즘이다. 브라우저와 서버가 정해진 헤더를 통해 요청 응답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CORS라는 이름으로 표준화가 되었다. ○ Same-Origin Policy 동일 출처 정책으로 XMLHttpRequest로 다른 웹페이지에 접근 시 같은 출처(프로토콜, 호스트명, 포트) 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 Cross-Origin 동일 출처 정책위반으로 XMLHttpRequest로 다른 웹페이지에 접근 시 접근이 되지않는다. Cross-Origin 회피를 위해 JSONP를 사용하기도 한다. ○ PreFlight request(사전요청) 브라우저에서는 요청하려는 URL이 외부도메인일 경우 사전요청을 먼저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