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사에서 인싸되기

(13)
저작자와 저작권자 저작권이란? 저작권은 창작물에 대한 법적 보호권입니다. 즉, 창작자가 그 작품을 만들었을 때 자동으로 보유하게 되는 권리로, 그 작품을 다른 사람들이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복제할 수 없도록 보호합니다. 저작권은 문학, 예술, 음악, 영상,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저작물을 창작한 사람이 그 작품의 저작권자가 되며, 그 작품에 대한 배타적인 사용권을 갖습니다. 이것은 다른 사람들이 그 작품을 사용하거나 배포하려면 저작권자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작권자는 그 작품을 상업적으로 이용하여 돈을 버는 것이 가능하며, 일정 기간 동안 해당 권리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은 국가마다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저작물의 보호 기간은 작품이 창작된 날짜와..
DA 광고란? DA(Display Ad) 포털 사이트, 동영상 플랫폼, 뉴스 콘텐츠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이미지 및 동영상 광고를 뜻한다. 우리는 웹 사이트(유튜브)를 돌아다니며 수 많은 DA 광고에 노출된다. DA 광고의 장점 사용자들이 쉽게 노출되어 클릭을 통해 실시간으로 고객이 유입된다는 점 GA등의 활용으로 사용자들이 배너클릭 -> 웹사이트 방문 -> 결제의 과정이 기록되어 Data를 바탕으로 효율 판단 가능 DA 광고의 단점 가격 대비 효율성 광고료가 높다...
[영화용어] 인서트(insert) Insert란? 1. [동사] (다른 것 속에둘 사이에) 끼우다[넣다/삽입하다] 2. [동사] (글 속에) 삽입하다[끼워 넣다] 3. [명사] (책신문잡지에 끼워 넣은) 삽입 광고 4. [명사] (끼워 넣거나 덧붙이는) 부속품[장착물] 출처 : 네이버 영어사전 영화 용어 에서는!? "특정 동작이나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서 삽입된 화면 이라고 합니다." 잡지식 늘리기 성공 :) 조금더 궁금하다면 읽어보면 좋아요~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usuw&logNo=203690337&parentCategoryNo=&categoryNo=45&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주요 시나리오 용어 제가 시나리오 공부..
Sitemap(사이트맵) 이란? 사이트맵이란? Site : 어떤 기업/단체/개인 등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인터넷상의 장소 Map : 지도 인터넷상의 장소의 지도라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좀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사이트맵은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 동영상 및 기타 파일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 입니다. 그래서 왜 필요한가?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은 이 파일을 통해 사이트를 더욱 효율적으로 크롤링 한다. 좀더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페이지등을 구글 검색엔진에 노출 시키고 우리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조금더 방문하기 위해서이다. 결론 결국 내가/회사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조금더 노출 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용어 크롤링(crawling) :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거기서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행위다. 관련 사이트 사이트맵 알아보..
원테이크/롱테이크란? 원테이크(One Take)란? 분할 찰영이나 편집을 하지 않고 한번에 찰영하는 기법이다. 한번에 찰영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지만 보는 사람은 한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든다. 롱테이크(Long Take)란? 원테이크와 비슷한 개념적으로 한번에 찰영하는 기법인데 평균보다 길게 찍는 방식 영화찰영에 많이 쓰이는 기법이고 나무위키에는 어떤 부분이 롱데이크로 찰영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그냥 간단한 개념을 잡기 위해 올려 봅니다. :)
유저 리텐션은? https://blog.ab180.co/posts/retention-series-1 유저 리텐션이 중요한 이유 어떻게 하면 유저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제품을 만들 수 있을까요? 그로스 단계와 상관없이 리텐션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소개합니다. blog.ab180.co
피봇팅이란? 사업체의 인적 구성이나 기본적인 핵심 기술에 변화를 주지 않은 채 사업 방향만 바꾸는 행위를 뜻한다. 회전하는 물체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심점 피봇(Pivot)은 두고 방향만 돌린다는 의미에서 피봇팅이란 용어가 벤처업계에 차용됐다. 통사나 예상했던 것만큼 시장이 보이지 않거나 성과가 나오지 않을때 과감하게 기존 계획을 엎어버리고 방향을 트는 결정이라는 점에서 비상 수단으로 여겨진다. 카카오의 경우 카카오톡 출시전에 부루닷컴, 위지아 라는 소설 기반 서비스를 출시 했었다고 한다. 기존 인력은 유지하되 사업 방향만 틀어 성공한 전형적인 피봇팅 사례다. 출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8152
백로그(backlog)란? 백로그는 개발해야 할 기능 또는 제품에서 요구하는 기능과 우선순위를 말한다. 백로그는?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문제를 해결해서 얻게 되는 결과는 무엇인가? 백로그 정리가 잘 되어야 업무의 우선순위도 선정이 쉽고 함께 서비스를 만들어가는 팀원들도 설득 하기가 좋다. 백로그는 팀에서 주기적으로 논의하고 선정해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