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0)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화용어] 인서트(insert) Insert란? 1. [동사] (다른 것 속에둘 사이에) 끼우다[넣다/삽입하다] 2. [동사] (글 속에) 삽입하다[끼워 넣다] 3. [명사] (책신문잡지에 끼워 넣은) 삽입 광고 4. [명사] (끼워 넣거나 덧붙이는) 부속품[장착물] 출처 : 네이버 영어사전 영화 용어 에서는!? "특정 동작이나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서 삽입된 화면 이라고 합니다." 잡지식 늘리기 성공 :) 조금더 궁금하다면 읽어보면 좋아요~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usuw&logNo=203690337&parentCategoryNo=&categoryNo=45&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주요 시나리오 용어 제가 시나리오 공부.. Excluded 명령어는 언제사용하는가? Excluded 명령어는 언제 사용하는가? 개발을 하다보면 INSERT, UPDATE를 동시에 하는 쿼리를 작성할 경우가 있는데요, PostgreSql에서는 ON CONFLICT (id) DO 라는 구문을 통해 ORACLE의 Merge와 같이 INSERT, UPDATE를 가능하게 합니다. 구문을 통해서 알아 보도록 하자 // 1. Update 구문제 그대로 메핑 INSERT INTO user (id, email) VALUES ('id', 'email') ON CONFLICT(id) DO UPDATE SET email = 'email' //2. excluded 사용 INSERT INTO user (id, email) VALUES ('id', 'email') ON CONFLICT(id) DO UPDATE S.. In-Editor Result 기능 ON/OFF Datagrip을 사용하다보면 가끔 쿼리 결과 같이 Editor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난 분명 누른적이 없는데... 이게 1~3개월에 한번씩 일어나니 이 기능을 OFF 하는 방법을 자꾸 잊어버려 이 기회에 적어 놓으려 한다. In-Editor Result (ON) In-Editor Result (OFF) 자꾸 잊어버려 정리해 놓는다. 이제 절대 잊어버리지 않기! :) isof 명령어 모음 필요한것만 정리해보기! 실행 중인 포트 확인 여러가지 프로젝트로 개발을 하다보면 포트가 사용중이라 서버 구동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간단하게 명령어로 검색 후 kill 처리 한다. > lsof -i -P | grep LISTEN | grep 9443 > kill -9 12312 9443 포트로 사용중인 서비스 검색 kill 명령어를 통해 서비스 종료 :) 크롬에서 팝업창 디버깅(추적) 하는법 1. 크롬에서 F12 눌르고 3.Auto-open DevTools for popups [V] 체크 팝업창 디버깅이 가능하게 된다. 끄읏 :) 로컬 환경 Flush DNS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lsof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lsof 란? lsof(list open files)의 약자로 시스템에서 열린 파일 목록을 알려주고, 사용하는 프로세스, 디바이스 정보, 파일등의 상세 정보를 출력한다. 리눅스와, 유닉스는 추상화된 파일 시스템 (VFS - Virtual File System)을 사용하므로 일반파일, 디렉터리, 네트워크 소켓, 라이브러리, 심볼릭 링크 등도 모두 파일로 처리 되며 상세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가? lsof 사용자 지정 지정된 사용자로 열린 파일을 볼 수 있다. > lsof -u whydda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OFF NODE NAME loginwind 391 whydda cwd DIR 1,17 640 2 / loginwind 391 whyd.. Sitemap(사이트맵) 이란? 사이트맵이란? Site : 어떤 기업/단체/개인 등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인터넷상의 장소 Map : 지도 인터넷상의 장소의 지도라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좀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사이트맵은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 동영상 및 기타 파일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 입니다. 그래서 왜 필요한가?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은 이 파일을 통해 사이트를 더욱 효율적으로 크롤링 한다. 좀더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페이지등을 구글 검색엔진에 노출 시키고 우리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조금더 방문하기 위해서이다. 결론 결국 내가/회사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조금더 노출 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용어 크롤링(crawling) :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거기서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행위다. 관련 사이트 사이트맵 알아보..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