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사에서 인싸되기

(13)
스크럼은 어떻게 해야 더 잘 진행할 수 있을까? 우선 스크럼이 뭔데? 스크럼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의 하나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기능/개선점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개발 주기는 30일로 조절하고 개발 주기 별로 동작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 개발 주기마다 적용할 기능이나 개선에 대한 목록 제공 날마다 15분 정도의 회의를 가져라 항상 팀 단위로 생각하라 원할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구분없는 열린 공간을 유지 하라. 애자일이 뭔데? 워터풀을 대체하는 방법론 중 하나 유연하게 일하는 방식 워터풀이란? 요구사항 분석 -> 프로그램 설계 -> 프로그램 개발 -> 테스트 -> 배포로 물이 흐르듯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이야기가 좀 산으로 가게 되었는데 본론으로 돌아와 결국 스크럼을 잘 할려면 팀원간에 같은 목표로 가야하며 같이..
아젠다 란? 아젠다란? 회의에서 논할 의제 또는 안건. 회의 활동의 목록 이며, 하나이상의 비즈니스 항목이 포함됩니다. 간단하게 회의에서 논의할 항목
DAU(Daily Active Users) / MAU(Month Active Users) 란 무엇인가? DAU란? 마케팅 지표 중 하나로 하루 동안 방문한 순수 사용자 수를 말한다. DAU를 정확하게 집계하려면 한 사용자가 내 사이트를 여러 번 방문한다고 해도 하나의 방문자로 봐야 한다. 그래야 정확하게 DAU 값을 알 수 있고 쓸모있는? 지표가 아닐까 한다. MAU란? 월간 활성 사용자라 하고 한달동안 방문한 순수 사용자를 말한다. 성숙한 서비스의 경우에는 MAU가 비교적 꾸준하게 유지된다. 한마디로 MAU 가 꾸준하게 나온다면 성공한 서비스가 아닐까 한다. 이 통계 값을 가지고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나의 사이트 및 홈페이지에 들어왔는지를 알 수 있으면 블로그를 예를 들어 오늘 방문자 수 100명 중 직업에 따른 글이 조회수가 좋았다면 내 블로그를 더 방문하게 하려면 ..
MAU란? MAU란? 월별 활동한 이용자를 의미한다. 월간 우리 사이트를 방문하고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지표이다. 산정 방식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면 특정한 값의 (id) 여부로 판단한다. 이런 지표들을 수집하기 위해 구글 애널리틱스(GA) 을 사용하거나 그외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집계가 가능하다. 그래서 어디에 사용하는가? MAU측정으로 마케팅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고 고객의 경험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예로는 웹툰 회사 기준으로 활동하지 않는 대규모의 유저를 대상으로 만화의 대여권을 선물해서 재 활성화 유저가 될 수 있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지표들과 같이 분석하여 유저들의 활동에 대해 더 자세히 분석이 가능하다.
DAU란? 정의 DAU(Daily Active Users) 하루 동안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 사용자 수를 말한다. 특징 순수 방문자수를 나타낸다. (한 사용자가 여러번 해당 서비스를 접속하였어도 한명으로 집계) 집계방법 게임 시작 시,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등 장점 단기적인 이벤트 등의 유저들의 호응을 알 수 있다. 즉 마케팅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시간 단위로 방문자 수를 집계해 서비스 개선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같이 활용할 수 있는 지표 MAU(Montly Activity User): 월간 순수 활동 수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가입자 당 평균 수익